아세안

회원국 및 대화상대국

  • 회원국(총10개국)

    브루나이,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

  • 대화상대국(대화상대국 10개국, 부분대화상대국 3개국/국제기구 제외)

    대화상대국(Dialogue Partners): 한국,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인도, EU 10개국

    부분대화상대국(Sectoral Dialogue Partner): 파키스탄, 노르웨이, 스위스

    비국가 대화파트너(Non-Country Dialogue Partner): UNDP

    개발 파트너(Development Partner) : 독일

    ※ 2016.7월 ASEAN 외교장관 회의 계기 부분대화상대국에 스위스, 개발파트너에 독일 추가

창설 배경

  • 베트남전 본격화, 인도차이나 공산주의 확산 등 국제정세 급변에 따른 공동 대응 필요성에 따라, 1967.8.8 ASEAN 5개국(인도네시아, 태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이 외교장관 회의를 개최, ASEAN 창립 선언(방콕 선언)을 발표함으로써 결성

ASEAN 전체 주요 지표 (2017년 기준)

  • 인구

    약 6억 4천 7백만명

  • 면적

    약 448만㎢

  • GDP

    2조 7,615억불(전세계 총 GDP의 3.45%)

  • 총교역량

    2조 5,748억불(수출: 1조 3,223억불/수입: 1조 2,525억불)

※ 출처 : ASEAN 사무국, IMF, UNFPA

회원국별 규모(경제, 인구 등) 비교

  • 일반사항

    (기준: 2017년)

    국 가 면 적(㎢) 인 구
    브루나이 5,769(경기도 0.5배) 0.4 백만명
    캄보디아 181,035 (한반도 0.8배) 16 백만명
    인도네시아 1,913,579 (한반도 9배) 264 백만명
    라오스 236,800 (한반도 1.1배) 6.9 백만명
    말레이시아 330,290 (한반도 1.5배) 31.6 백만명
    미얀마 676,577 (한반도 3배) 53.4 백만명
    필리핀 300,000 (한반도 1.3배) 104.9 백만명
    싱가포르 719 (서울시 1.2배) 5.7 백만명
    태국 513,120 (한반도 2.3배) 69 백만명
    베트남 330,951 (한반도 1.5배) 95.5 백만명
    합 계(A) 4,488,840㎢ 647.4 백만명
    세계총계(B) 510,072,000㎢ 7,550 백만명
    비중(A/B) 0.88% 8.57%

    ※ 출처 : 면적(ASEAN 사무국)/ 인구(유엔인구기금(UNFPA))



  • 경제현황

    (기준: 2017년)

    국 가 GDP 1인당 GDP 수 출 수 입 교 역
    브루나이 127억불 29,711불 48억불 31억불 79억불
    캄보디아 222억불 1,389불 113억불 143억불 256억불
    인도네시아 10,154억불 3,875불 1,689불 1,569억불 3,258불
    라오스 170억불 2,542불 36억불 48억불 84억불
    말레이시아 3,145억불 9,812불 2,178억불 1,951억불 4,129억불
    미얀마 665억불 1,263불 139억불 192억불 331억불
    필리핀 3,134억불 2,976불 683억불 1,079억불 1,762억불
    싱가포르 3,239억불 57,713불 3,833억불 3,177억불 7,010억불
    태국 4,553억불 6,590불 2,367억불 2,228억불 4,595억불
    베트남 2,204억불 2,353불 2,138억불 2,111억불 4,249억불
    합 계(A) 2조7,615억불 (평균)4,266불 1조3,223억불 1조2,525억불 2조5,748억불
    세계총계(B) 79조8,654억불 (평균)10,578불 17조6,406억불 18조1,181억불 35조 7,587억불
    비중(A/B) 3.45% 40.3% 7.4% 6.9% 7.2%

    ※ 출처 : IMF World Economic Outlook 2015(GDP, 1인당GDP), 한국무역협회(수출입,교역액)

2015 ASEAN 공동체(ASEAN Community) 출범 (2015.12.31)

  • ASEAN 공동체 개요

    2015.12.31 공식출범한 ASEAN 공동체(ASEAN Community : AC)는 3개의 공동체로 구성
    △ ASEAN 정치‧안보 공동체(ASEAN Political-Security Community : APSC)
    △ ASEAN 경제공동체(ASEAN Economic Community : AEC)
    △ ASEAN 사회・문화 공동체(ASEAN Socio-Cultural Community : ASCC)

    ASEAN 공동체는 약 인구 6.3억으로 세계 3위(중국, 인도, ASEAN), GDP 규모 약 2.5조 달러 규모의 시장형성으로 7위권 규모(미국, 중국, 일본, 독일, 프랑스,영국, ASEAN/단 EU와 같은 여타 지역공동체 제외시)를 형성
    ASEAN의 경제성장률(연 평균 약 5%)은 지속 상승세를 이어갈 전망
    ASEAN은 인구의 60%가 35세 이하인 젊은 시장으로, 중산층 인구가 10년새 2배 증가(2020년 4억명 예상)하는 등 내수시장 확대 지속중 △低임금, △소비시장 팽창, △풍부한 천연자원, △후발신흥국(CLMV) 개혁· 개방 등에 따라 글로벌 기업들의 진출 강화 예상

    ASEAN 공동체 출범은 한국의 새로운 미래성장 동력이 될 가능성 기대
    - ASEAN은 최근 한국의 핵심 경제파트너로 부상 (제2의 교역, 제2의 투자대상, 제2의 건설수주 시장, 2015년 기준)

  • ASEAN 공동체 비전 2025의 주요 내용

    공통 요소
    ASEAN은 규범 중심적이며(rule-based), 인간 지향적이고(people-oriented), 인간중심적(people-centered)인 ASEAN 공동체 지향
    동 공동체는 ASEAN Charter에서 명시하고 있는 ASEAN 국민들의 인권과 기본 자유, 높은 삶의 질, 공동체 구축의 혜택 등을 보장
    ASEAN 공동체는 평화적이며, 안정적이고, 회복력(resilient) 있는 공동체를 지향하며, 세계국가 공동체(a global community of nations)의 일원으로서 대외 지향적(outward-looking) 공동체를 추구

    정치‧안보 공동체(APSC)
    △규칙 기반 공동체, △포용적 대응 공동체, △관용과 중용 공동체, △포괄적 안보 공동체, △분쟁 해결 공동체, △비핵지대 공동체, △해양 안보 협력 공동체, △ASEAN 중심성 공동체, △역외 협력 상생 공동체

    경제 공동체(AEC)
    △높은 수준의 통합과 유기적인 경제, △경쟁력 있고, 혁신적이며, 역동적인 경제, △연계성 및 부분간 통합 강화, △회복력 있고 포용적인 인간중심의 공동체, △글로벌 ASEAN을 지향

    사회‧문화 공동체(ASCC)
    △실행적이고, 참여적이며, 사회적으로 책임감 있는 공동체, △포괄적 공동체, △지속가능한 공동체, △복원력 있는 공동체, △역동적이고 조화로운 공동체

    미래방향
    향후 10년간, ASEAN은 통합의 다음단계인 강력히 단결된 공동체(Stronger Cohesiveness as a Community)를 추구

공식웹사이트 : www.asean.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