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의 여정: 아세안을 걷다’를 주제로 아세안 10개국의 풍경과 음식, 문화 등 다양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 전시관.
아세안의 고유한 정서가 담긴 물품과 사진 그리고 영상을 통해 코로나로 멀게만 느껴졌던 아세안의 일상을 경험해 볼 수 있다.
The exhibition presents diverse stories of ASEAN such as landscape, dishes and culture on the theme of ‘The Journey of Rice: Walking through ASEAN’.
Experience the daily life in ASEAN that seemed distant due to the pandemic through items, photos and videos that embody the unique sentiment of ASEAN.
‘쌀의 여정: 아세안을 걷다’를 주제로 아세안 10개국의 풍경과 음식, 문화 등 다양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 전시관.
아세안의 고유한 정서가 담긴 물품과 사진 그리고 영상을 통해 코로나로 멀게만 느껴졌던 아세안의 일상을 경험해 볼 수 있다.
The exhibition presents diverse stories of ASEAN such as landscape, dishes and culture on the theme of ‘The Journey of Rice: Walking through ASEAN’.
Experience the daily life in ASEAN that seemed distant due to the pandemic through items, photos and videos that embody the unique sentiment of ASEAN.
‘쌀의 여정: 아세안을 걷다’를 주제로 아세안 10개국의 풍경과 음식, 문화 등 다양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 전시관.
아세안의 고유한 정서가 담긴 물품과 사진 그리고 영상을 통해 코로나로 멀게만 느껴졌던 아세안의 일상을 경험해 볼 수 있다.
The exhibition presents diverse stories of ASEAN such as landscape, dishes and culture on the theme of ‘The Journey of Rice: Walking through ASEAN’.
Experience the daily life in ASEAN that seemed distant due to the pandemic through items, photos and videos that embody the unique sentiment of ASEAN.
‘쌀의 여정: 아세안을 걷다’를 주제로 아세안 10개국의 풍경과 음식, 문화 등 다양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 전시관.
아세안의 고유한 정서가 담긴 물품과 사진 그리고 영상을 통해 코로나로 멀게만 느껴졌던 아세안의 일상을 경험해 볼 수 있다.
The exhibition presents diverse stories of ASEAN such as landscape, dishes and culture on the theme of ‘The Journey of Rice: Walking through ASEAN’.
Experience the daily life in ASEAN that seemed distant due to the pandemic through items, photos and videos that embody the unique sentiment of ASEAN.
‘쌀의 여정: 아세안을 걷다’를 주제로 아세안 10개국의 풍경과 음식, 문화 등 다양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 전시관.
아세안의 고유한 정서가 담긴 물품과 사진 그리고 영상을 통해 코로나로 멀게만 느껴졌던 아세안의 일상을 경험해 볼 수 있다.
The exhibition presents diverse stories of ASEAN such as landscape, dishes and culture on the theme of ‘The Journey of Rice: Walking through ASEAN’.
Experience the daily life in ASEAN that seemed distant due to the pandemic through items, photos and videos that embody the unique sentiment of ASEAN.
루손섬 고지대에 형성된 계단식 논으로 1995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Rice terrace designated as UNESCO World Heritage in 1995 formed on Luzon Island highlands.
발리섬의 전통 관개시설인 수박(Subak)을 중심으로 형성된 계단식 논으로 2012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Rice terrace formed around Subak (a traditional irrigation facility in Bali). Designated as a UNESCO World Heritage in 2012 as cultural landscape.
캄보디아의 한 논에서 농부가 써레질하는 모습.
Farmers harrowing a rice paddy in Cambodia.
추천 11
라오스의 한 논에서 모내기를 하고 있는 농부의 모습. 대부분의 쌀 생산 지역은 메콩 강을 따라 위치해 있다.
A famer planting rice in a paddy field in Lao PDR. Most of the rice-producing provinces are located along the Mekong River.
추천 10
수확 후 논에서 볏짚을 거두는 농부들. 미얀마의 전체 면적 중 5분의 1 이상이 경작 가능한 농지이다.
Farmers collecting rice straws in the field after harvesting in Myanmar. Over one fifth of the land in Myanmar is arable and good for agriculture.
추천 12
베트남 북서부 라오까이성에 위치한 계단식 논으로 고산지대 특유의 그림 같은 풍경을 자랑하는 대표적인 관광지이다.
Rice terrace located in Lào Cai city in the Northwestern part of Vietnam. One of the most famous tourist sites with the unique picturesque view of alpine regions.
풍농과 비를 기원하는 태국 북동북 지역의 전통 축제로 대나무에 화약을 넣어 하늘로 쏘아 올린다.
A traditional festival held throughout Northeastern Thailand wishing for enough rainfall and a good harvest by launching rockets made of bamboos filled with gunpowder.
말레이시아 사바에서 5월 내내 열리는 연례 추수감사제.
An annual harvest festival held throughout the whole month of May in Sabah, Malaysia.
해 말라이 카오 떡 (튀밥 화환 행렬) 이라는 문화 행사를 위해 튀밥으로 장식을 만드는 태국 여성.
A Thai woman making garland with popped rice for a cultural event called Hae Malai Khao Tok.
라오스 북부에 위치한 고대 도시이자, 1995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루앙프라방의 아침은 승려들의 탁발 행렬과 함께 시작된다.
The morning of Luang Prabang, ancient city in the northern Laos designated as UNESCO world heritage in 1995, begins with the Tak bat procession of Buddhist monks.
추천 8
인도네시아 순다족의 전통 추수감사축제로 풍성한 벼 수확에 감사하고 이듬해의 풍요와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열린다.
Traditional Thanksgiving festival of the Sundanese in Indonesia appreciating the bountiful rice harvest and wishing for prosperity in the following year.
여러가지 재료들로 채우거나 담백하게 찐 찹쌀 경단으로 야자수 잎 또는 판단 잎으로 감싸서 차려낸다.
Steamed glutinous rice dumpling wrapped in bamboo or pandan leaves, served plain or filled with assorted ingredients.
추천 10
후추를 친 차우저우식 돼지갈비 탕으로 밥과 밑반찬을 곁들여 먹는다.
An iconic Teochew style Bak Kut Teh, a peppery pork rib soup served with rice and side dishes.
미얀마에서 쌀국수를 햇볕에 말리는 모습. 미얀마의 쌀국수로 만든 대표적인 요리인 모힝가는 민물고기 육수로 만든 진한 국물과 함께 제공된다.
Handmade rice noodles dried in the sun in Myanmar. One of the signature dishes of Myanmar called Mohinga is made with rice noodles in rich broth made from freshwater fish.
코코넛과 팜슈거로 속을 채우고 바나나 잎으로 감싸 굽거나 쪄내는 단 찹쌀떡이다.
Grilled or steamed sweet glutinous rice cake filled with coconut and palm sugar wrapped in banana leaves.
베트남 전통 방식으로 라이스페이퍼를 만드는 모습. 베트남에는 라이스페이퍼를 활용한 음식이 많다. 대표적인 요리로는 돼지고기와 새우, 각종 채소를 라이스페이퍼로 감싸 먹는 고이 꾸온이 있다.
A traditional way of making rice paper in Vietnam. Vietnam has many dishes made with rice paper. One signature dish in Vietnam is called Goi Cuon, which is sliced pork and shrimp with vegetables wrapped in rice paper.
추천 10
팜슈거와 잘게 조각낸 코코넛으로 속을 채워 쪄내는 동그란 모양의 쌀가루 케익.
A round shaped steamed rice flour cake filled with palm sugar mixed with shredded coconut.
다이아몬드 모양으로 엮은 야자수 잎 속에 찹쌀을 넣어 만든 전통 떡으로 하리 라야 아이딜피트리 (이슬람 종교 축제) 축제기간에 즐겨먹는 음식 중 하나이다.
Rice cake packed inside a diamond-shaped container of woven palm leaf pouch. One of the celebrative dishes for Hari Raya Aidilfitri.
‘쌀의 여정: 아세안을 걷다’를 주제로 아세안 10개국의 풍경과 음식, 문화 등 다양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 전시관.
아세안의 고유한 정서가 담긴 물품과 사진 그리고 영상을 통해 코로나로 멀게만 느껴졌던 아세안의 일상을 경험해 볼 수 있다.
The exhibition presents diverse stories of ASEAN such as landscape, dishes and culture on the theme of ‘The Journey of Rice: Walking through ASEAN’.
Experience the daily life in ASEAN that seemed distant due to the pandemic through items, photos and videos that embody the unique sentiment of ASEAN.
찰밥을 따뜻하게 보관하는 용도로 쓰인다. 주로 대나무나 등나무로 만들어지며, 라오스 요리와 각 가정의 번영을 상징한다.
The symbol of Lao cooking and prosperity of each home, used to store sticky rice to keep it warm and soft. It is usually made from wood such as bamboo or rattan.
‘쌀의 여정: 아세안을 걷다’를 주제로 아세안 10개국의 풍경과 음식, 문화 등 다양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 전시관.
아세안의 고유한 정서가 담긴 물품과 사진 그리고 영상을 통해 코로나로 멀게만 느껴졌던 아세안의 일상을 경험해 볼 수 있다.
The exhibition presents diverse stories of ASEAN such as landscape, dishes and culture on the theme of ‘The Journey of Rice: Walking through ASEAN’.
Experience the daily life in ASEAN that seemed distant due to the pandemic through items, photos and videos that embody the unique sentiment of ASEAN.
‘쌀의 여정: 아세안을 걷다’를 주제로 아세안 10개국의 풍경과 음식, 문화 등 다양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 전시관.
아세안의 고유한 정서가 담긴 물품과 사진 그리고 영상을 통해 코로나로 멀게만 느껴졌던 아세안의 일상을 경험해 볼 수 있다.
The exhibition presents diverse stories of ASEAN such as landscape, dishes and culture on the theme of ‘The Journey of Rice: Walking through ASEAN’.
Experience the daily life in ASEAN that seemed distant due to the pandemic through items, photos and videos that embody the unique sentiment of ASEAN.
(우)소나무 잎, 대나무, 판단, 라탄, 실랏 잎을 엮어 만든 작은 바구니로 1950년대부터 과일 및 생선 등을 보관할 때 사용해왔다.
(좌)브루나이 캄퐁 아에르(수상마을)에서 유래된 형형색색의 무늬를 넣은 음식 덮개이다. 염색한 판단이나 야자수 잎을 엮어 만든다.
(R)A woven basket used to store fish and fruits since the 1950s. It is made by weaving pine leaves, bamboo, pandan, rattan, and silat leaves.
(L)A traditional food covering of Brunei Darussalam originating from Kampong Ayer(water village), made by weaving colored pandan or palm leaves together.
찹쌀밥에 닭고기로 만든 삼발 소스를 함께 넣어 구워 낸 국민 음식이다.
Grilled glutinous rice with chicken sambal filing wrapped in banana leaves.
캄보디아의 크메르 장인과 토착민들이 전통 방식으로 제작한 라탄 수공예품으로, 씨엠립 인근 마을 크로베이리엘(Kro Bei Riel)에서 유래된 직조법으로 제작되었다.
Rattan handicrafts made by indigenous Kuoy and Khmer artisans of Cambodia using a style of basket weaving that originated from Kro Bei Riel, a village near Siem Reap.
캄보디아 논에서 한 소년이 물소를 타고 거니는 모습. 전통적으로 물소는 논밭을 경작하는데 쓰인다.
A boy riding a water buffalo in Cambodia. Water buffalos are traditionally used to plow farmlands
(좌)대나무나 야자수 잎으로 만든 뚜껑이 달린 용기이다. 태국에서 밥을 따뜻하게 보관하기 위해 사용한다.
(우)인도네시아 토라자 부족의 목공예품으로, 토라자 종교인 알룩토돌로(Aluk To Dolo)의 다양한 축제를 대표하는 색으로 만들어졌다.
(L)A container with a lid made of bamboo or palm leaves. Used to keep the rice hot in Thailand.
(R)Wood carvings of the Torajans of Indonesia, made with colors that represent the various festivals of Aluk To Dolo ('the Way of the Ancestors'), the indigenous Toraja religion.
인도네시아 서부 수마트라 섬의 오랜 전통을 자랑하는 황소 경주로, 수확을 무사히 마친 것을 축하하기 위해 열린다.
Time-honored traditional bull race celebrating successful harvest in Sumatra, an island in western Indonesia.
벼 농사의 전통적인 시작을 알리는 태국 고대 왕족의 의식이다.
Ancient royal rite held to mark the traditional beginning of the rice growing season. Literal translation of the ceremony is “auspicious beginning of the rice growing season.”
찰밥을 따뜻하게 보관하는 용도로 쓰인다. 주로 대나무나 등나무로 만들어지며, 라오스 요리와 각 가정의 번영을 상징한다.
The symbol of Lao cooking and prosperity of each home, used to store sticky rice to keep it warm and soft. It is usually made from wood such as bamboo or rattan.
대나무 껍질을 엮어 만든 작은 용기로 찰밥을 담아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하며, 가정의 번영을 상징한다.
A small container made by weaving bamboo sheath. Used for storing glutinous rice, and symbolizes prosperity of households.
사라왁의 바켈랄란 고산지대에서 만들어진 공예품으로 음식뿐만 아니라 열쇠 등 귀중품을 보관하는데 사용된다.
Handicraft made in Bakelalan Highlands of Sarawak used for storing not only food, but other valuable items like keys.
말레이시아 사바에서 열리는 추수감사제 기간에 입는 민족 전통 수공예 의상.
Traditional hand-stitched ethnic costumes worn during a harvest festival held in Sabah, Malaysia.
옻칠은 미얀마 전통 수공예품 중 하나로, 바간 시대(11~13 A.D.)부터 존재했다고 알려져 있다.
One of the traditional handicrafts in Myanmar that is known to have existed since the Bagan period (11th-13th A. D.).
전통 농기구를 사용하여 물을 대는 미얀마 농부. 미얀마 이라와디 강의 삼각주 지역은 비옥한 토양으로 대표적인 벼 생산지역이다.
Farmers irrigating the rice fields using a traditional farming equipment in Myanmar. The delta region of the Ayeyarwady River in Myanmar is a typical rice-producing region with fertile soil.
추천 10
(우)농부들이 비와 강한 볕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전통 모자로 대나무, 야자 잎 등으로 만들어진다.
(좌)쌀알을 말리고 털어서 불순물을 걸러 내기 위한 도구이다. 오늘날 바구니, 음식 용기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R)A headgear or native hat worn by farmers to protect themselves from the strong sunlight and rain. It is usually made from bamboo and palm leaves.
(L)A tray traditionally used for drying grains of rice and for sifting them by tossing the grains on it to remove unwanted materials. Today, it is used as baskets or food containers.
이푸가오 바나우에의 가장 큰 문화 축제 중 하나로 풍성한 벼 수확에 감사하기 위해 4월에 열리는 추수감사제이다.
One of the biggest cultural festivals in Banaue, Ifugao, celebrated during the month of April to appreciate a bountiful rice harvest.
싱가포르에서 클레이팟 라이스나 클레이팟 락사를 요리할 때 종종 사용하며 특색 있는 맛을 가미하기 위해 전통적으로 숯불에 요리한다.
Often used in Singapore for cooking rice dishes such as Claypot Rice and Claypot Laksa. Traditionally cooked over a charcoal stove to give the dishes distinctive flavor.
추천 10
데친 닭을 밥과 세가지 대표 디핑 소스와 함께 곁들여 먹는 국민요리이다.
A national dish served with poached chicken with rice and three signature dipping sauces.
라이스페이퍼를 대나무발 위에 놓아두고 햇볕과 바람에 자연 건조하는 모습.
Rice paper is spread over a bamboo grid and left to dry in sun and wind.